티스토리 뷰
2023년부터 만 0세~1세 미만 아동들에게 부모급여라는 명목으로 월 70만 원을 지급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.
부모급여, 아동수당, 영아수당, 양육수당까지 관련된 수당이 너무 많아서 헷갈립니다. 2023 부모급여, 아동수당, 영아수당, 양육수당 어떻게 바뀌는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<알아보기>
2023년 영유아 수당 총정리
1. 부모급여 : 2023년 1월생은 월 70만 원, 다음 해 50만 원 / 2024년 1월생은 월100만원, 다음해 50만원
2. 아동수당 : 아기가 만 8세되기 전까지 월 10만 원
ㄴ 아이가 만 8세가 되기 전까지 매월 10만 원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수당입니다.
3. 영아수당 : 아기가 만 24개월 되기 전까지 월 30만 원
ㄴ 2022년 1월 이후 출생아에게 해당이 되고, 만 2세가 되기 전까지(총 24개월) 매월 30만 원의 현금을 지급하는 수당입니다.
4. 양육수당 : 어린이집에 안 보내는 경우로 월 10만 원
ㄴ 아기를 만 8세 전까지 집에서 키울 시 : 24개월까지는 위에 소개한 "영아수당 30만 원", 이후에는 매월 10만 원 지급
ㄴ 아기를 25개월부터 어린이집에 보낼 시 : 현금지원은 없고 대신 어린이집 보육료를 국가에서 지급
즉 2023년부터는 영아수당은 부모급여로 변경이 되기 때문에 2023년에는 아동수당과 부모급여를 받게 됩니다.
2023년에 매월 받을 지원금은?
2021년생 : 두 돌 생일 달까지 매월 25만 원
2022년생 : 첫돌 생일 달까지 매월 80만 원, 그 이후 45만 원
2023년생 : 매월 80만 원
정리를 해보자면 2023년부터는 영유아수당이 사라지고 부모급여가 70만 원 현금으로 지급되며, 2024년에는 부모급여가 더 증액된다는 사실입니다. 아래 표를 참고
부모급여 신청방법
신청방법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접수할 수 있습니다. 부모급여 대상자라면,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및 주민센터에 방문하면 되는데, 서류를 반드시 지참하셔야 합니다.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또는 여성가족부 사이트에 접속하여 신청해주시면 됩니다. 필자의 경우 자동으로 적용되어 1월부터 지급된다고 합니다.
2023년 출산 예정이라면, 오프라인 신청 시 원스톱으로 접수할 수 있고, 2022년생 영아인 경우에는 소급적용이 확정되었을 때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.
이외에도 받을 수 있는 출산혜택
첫 만남 이용권
ㄴ2022년에 생긴 제도로 출산을 축하하는 의미로 첫만남이용권이 제공됩니다.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로 200만 원이 지급되고 사용기한은 1년입니다. 온라인, 오프라인 모두 사용가능합니다.
아동수당
ㄴ아동수당은 2023년 만 0세~만 8세까지 월 10만 원 지급합니다.
지역별 출산지원금
ㄴ국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 이외 각 지자체에서 출산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지역마다 금액이 다르니 참고하세요.
아래 참고 할 수 있게 링크 남겨 놓겠습니다.
아무리 지원을 해줘도 모자라는 게 육아인 거 같습니다. 하지만 잘 알고 있어야 잘 받을 수 있겠죠?
밤낮으로 잠 못 자는 엄빠들 응원하며 마무리하겠습니다.
육아 : 출산지원금 / 국민행복카드 신청 및 발급 / 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
안녕하세요. 저출산 위기에 빠진 한국.. 저출산을 막아보려고 2022년에는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지원금이 상향되었습니다. 일본은 코로나 이 후 출산율이 올랐다고 하는데요? 흠.. 우리도 힘을 내
well-story.tistory.com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 3월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접종 꼭 확인하세요! (0) | 2023.03.02 |
---|---|
내돈내산 프롬유 샤워핸들 아기 목욕 필수템 사용후기 장단점 (2) | 2023.01.25 |
육아 : 신생아 황달, 어떻게 해야 할까? (0) | 2022.11.08 |
육아 : 신생아 딸꾹질 원인, 멈추는 방법 (0) | 2022.11.05 |
육아 : 좋은 젖병소독기 고르기, 장점과 단점 (0) | 2022.11.03 |